선문대 구사회 교수 '미강별곡' 공개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도학가이자 정치거물이며 서예가로도 이름 높은 미수 허목(許穆.1595-1682)을 기리는 조선시대 말기 국한문 혼용 가사 작품이 발굴됐다.
선문대 국문학과 구사회(具仕會) 교수는 지금까지 보고된 가사 7천여 수에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작품인 '미강별곡'(嵋江別曲)을 찾아냈다고 23일 밝혔다.
이 가사 작품은 여러 글들을 필사해 묶어 놓은 104쪽 짜리 서책(18 x 39㎝) 중간쯤에 '황산별곡'이라는 다른 가사와 함께 들어 있었다. 책은 앞뒤 표지가 떨어져나가 제목을 알 수가 없다.
'미강별곡'은 전체 27절 54구에 지나지 않는 국한문혼용의 단형가사로, 숙종조에 우의정까지 오른 허목을 배향한 경기 연천 마곡면의 미강서원(嵋江書院) 일대를 유람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노래는 미수의 기상과 정신, 학문과 도통, 삶의 자세나 태도 등을 높이 평가하면서 그의 이런 측면들이 모두 퇴계 이황에게서 연원을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신야(莘野)에서 은거하며 밭을 갈던 이윤(伊尹)이 은 탕왕(殷湯王)을 도와 하(夏)나라의 폭군인 걸왕(桀王)을 축출하고, 위수(渭水)에서 낚시하던 강태공(姜太公)이 주 무왕(周武王)을 도와 은나라 폭군 주왕(紂王)을 징벌한 고사에 비겨 허목이야말로 그들처럼 신야위수(莘野渭水)의 충신이었다고 극찬한다.
이어 가사는 그처럼 나라를 위해 충정을 다한 미수가 때가 되자 아무런 미련 없이 다시 초야로 돌아간 정신을 찬양했다.
![]() |
미수 허목 기린 가사 발굴 |
이처럼 미강별곡은 허목의 덕망과 유풍을 기리는 도학가사에 속한다.
이 작품에는 '선산(善山) 연흥(延興) 윤처사작'(尹處士作)'이라고만 돼 있어 지금의 경북 선산군 연흥이란 마을 출신인 윤처사의 작품이라는 것만 알 수 뿐이다.
하지만 구 교수는 이 가사에 나타난 국어표기법이 18-19세기적인 특징을 보이고, 기호 남인계 문사인 윤희배(尹喜培.1827-1900)라는 사람이 마침 고종 20년(1883) 10월에 허목을 문묘에 배향해 달라는 장문의 상소를 올린 점에 비추어 그가 '윤처사'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구 교수에 의하면 조선후기에 영남 남인은 대체로 학통이 퇴계에서 학봉 김성일과 서애 유성룡으로 계승된다고 본 데 비해 기호남인들은 퇴계→한강 정구→미수 허목→성호 이익으로 이어졌다고 봤다.
구 교수는 이에 대한 논문을 다음달 발간예정인 국어국문학회 기관지 '국어국문학' 142집에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미강별곡이 발굴된 이번 서책에는 조선후기 방랑시인 김삿갓(김병연)의 한시 2수, '작걸인'(作乞人)과 '안경'(眼鏡)도 포함됐다. 이 중 '안경'은 같은 제목의 김삿갓 시가 알려져 있으나, 이번 작품은 그 내용이 완전히 다르다고 구 교수는 덧붙였다.
http://blog.yonhapnews.co.kr/ts1406
taeshik@yna.co.kr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