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씨성의 연원

유허비

보주태후 허황옥 영정

허씨 성의 연원

허씨(許氏) 성(姓)의 연원은 멀리 가락국(駕洛國)의 시조인 김수로왕(金首露王)의 왕비(王妃)인 보주태후(普州太后) 허황옥(許黃玉)에 두고 있다. 

수로왕비 보주태후 허황옥(許黃玉)의 성 허(許)를 잇다. 



삼국유사 기이편 가락국기에 의하면, 허황옥은 원래 인도(印度)의 아유타국(阿踰陀國)의 공주로서 16세에 배를 타고 지금의 경남 창원시 웅동면 앞바다에 이르러 김수로왕의 영접을 받고 왕후가 되었다 한다. 


가락국기에 의하면,


서기 48년, 수로왕이 즉위한 지 7년 되던 해 7월, 구간(九干: 아홉 촌장)들이 모여 배필(配匹: 배우자)을 간택토록 요청하자 수로왕은 “짐이 이 땅에 천명(天命:하늘의 명)을 받고 내려왔으니 짐에게 배필이 되어 왕후가 되는 것도 천명이 있을 것이다. 그러니 경(卿)들은 염려하지 말라”하고 구간 중의 한 추장인 유천간(留天干)에게 명하여 망산도(望山島: 김해 앞바다에 있는 섬)에 가서 기다려 보라 하였다. 얼마되지 않아 홀연히 큰 배 한 척이 남쪽으로부터 비단 돛을 달고 오는데 남·녀 수십 인의 신하들이 한 여자를 호위하고 석탑까지 싣고 오는 것이었다. 


수로왕이 장비를 갖추고 의식(儀式)으로 맞으니 그 여인이 말하기를 “첩은 아유타국(阿踰陀國)의 공주로 성은 허(許)씨이고 이름은 황옥(黃玉)이며 나이는 십육세 입니다. 금년 오월에 부왕(父王)과 모후(母后)가 제게 말씀하시기를 “우리가 어제 꿈 속에서 황천(皇天)의 상제(上帝)를 뵈었는데 상제가 말씀하시기를 ‘가락국의 원군(元君) 수로(首露)는 하늘이 태어나게 한 자로서, 임금이 되어 나라를 다스림에 신령스럽고 이치에 밝다. 다만 새로 나라를 세우고 임금이 되었으나 아직까지 배필을 정하지 못하였다. 경(卿) 등은 모름지기 공주를 보내어 수로의 배필이 되게 하라’ 하고 하늘로 올라 가셨는데, 그 말이 지금까지 귀에 생생하니 네가 가거라 하고, 이어 석탑을 배에 실어주시며 ‘아마도 풍파를 진압할 수 있을 것이다.’ 하셨습니다. 첩이 이로써 바다에 떠 먼 곳까지 찾아 이르게 되었습니다” 하였다. 이렇게 해서 왕후가 되어 수로왕과의 사이에 아들 열을 낳았다.

   

하루는 왕후가 수로왕께 말하기를 “첩이 하늘의 명을 받고 아비의 교훈을 받들어 먼 바닷길을 건너와 대왕을 모시었으니, 첩은 동쪽 땅의 객(客)이온데 첩이 죽은 뒤 제 성(姓)이 전해지지 못하는 것이 서글플 따름입니다” 하니 수로왕이 어여삐 여겨 두 아들로 하여금 어머니의 성인 허씨(許氏)를 따르게 하였다. 


서기 189년에 태후 허씨가 돌아가시니, 나이 157세였으며 온 나라 사람들이 땅이 꺼진 듯 슬퍼했다. 구지봉 동북 언덕에 장사지냈다. 10년 뒤인 서기 199년에 수로왕께서 돌아가시니 나이 158세였으며 납릉(納陵)에 장사모셨다. 김수로왕의 큰 아들 거등(居登)이 즉위하여 왕통을 이었으며 나머지 일곱 왕자는 불가(佛家)에 귀의하여 하동칠불(河東七佛)로 성불(成佛)했다고 전해진다. 일곱 왕자가 성불한 사찰은 칠불사(七佛寺)라 불리며 경상남도 하동군, 지리산 반야봉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가락국 10대 구형왕[仇衡王 : 양왕(讓王)] 12년 (서기 532년)에 가락국이 신라에 합병되니 김수로왕의 자손들은 사방으로 흩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그 후 고려초에 와서 거주지와 벼슬로 인해, 공암(孔巖), 태인(泰仁), 하양(河陽), 김해(金海)로 허씨가 분관되었으니 '공암'은 고려시대의 지명인 공암현(孔巖縣)을 뜻하며, '공암현'이 고려말, 양천현(陽川縣)으로 바뀌어 관향이 '양천 허씨'로 이어지고 있다. 양천현은 현재의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구, 경기도 김포 일원을 지칭한다. 


양천허씨(陽川許氏)의 시조인 허선문(許宣文)은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를 정벌할 때, 많은 군량미 등을 제공하여 고려개국 삼한벽상공신으로 기록되어 있다. 다만 시조 허선문이 언제부터 공암땅에서 살았는지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김해의 수로왕릉인 납릉(納陵) 정문(1620년 창건)에는 두 마리의 물고기, 활, 연꽃 봉오리, 남방식의 불탑이 조합된 장식이 단청으로 그려져 있고, 또 능의 중수(重修) 기념비(1928년 건립)에는 풍차모양의 태양 문양이 새겨져 있다. 이러한 것들은지금도 인도의 아요디아 지방에서 대건축에 흔히 쓰이고 있는 장식 혹은 조각으로 알려지고 있다. 


허왕후가 살았다는 아유타국은 인도 갠지스 강의 상류인 사류(Saryu)강 기슭에 자리잡고 있던 고대 국가, 아요디아(Ayodhya) 왕국을 지칭하는데, 도시 아요디아는 인도 고대 국가인 코살라(Kosala) 왕국의 다사라타(Dasharatha) 국왕의 장남 라마(Rama)가 태어난 곳이다. 이런 연유로 이곳에는 많은 힌두교 사원과 힌두교도 들이 지금도 살고 있다. 아요디아는 현재 인도의 우타르 프라데시(Uttar Pradesh) 주에 위치하고 있는데, 수도인 뉴델리로부터 약 690km 떨어져 있다. 1999년 4월 28일 아요디아 왕조의 후예인 미쉬라(Mishra) 부부가 당시 김종필 국무총리의 초청으로 한국을 방문한 것이 계기가 되어 가락중앙종친회는 2001년 3월 6일 허왕후의 모든 후손의 이름으로 한글, 영어, 인도어로된 ‘가락국 허왕후 유허비’를 인도 아요디아 시 사류 강가의 공원에 세웠다. 이 비는 후손들의 성금 1억원으로 한국에서 제작되어 배편으로 인도의 아요디아 시로 보내졌는데, 제막식에는 서울에서 출발한 가락중앙종친회 김봉호(金琫鎬) 회장, 양천허씨대종회 허찬(許燦) 회장, 인천이씨대종회 이남호(李南浩)회장을 비롯 허왕후의 후손 90여명과 현지 지방정부 인사와 시민 등 약 2천 여명이 참석하여 성대한 제막식을 치렀다. 비문은 김해 김씨인 김시우(金時佑)가 짓고 글씨는 양천 허씨인 지촌 허용(龍, 현 대종회 고문)이 썼다.  

 

허왕후가 인도에서 김해까지 온 경로에 대해서는 허왕후가 인도로부터 직접 바다를 건너왔는지 아니면 다른 곳을 경유하여 왔는지, 또는 중국 등 다른 지역에서 일정기간 동안 살다가 왔는지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일부 학자들은 김해에 위치한 허왕후의 비에 ‘보주태후’란 말이 있어 허왕후가 인도에서 온 것이 아니라, 중국 사천성에 있었던 보주(지금의 사천성 안악현)에서 왔다고 주장하기도 하나, 다른 학자들은 ‘보주’라는 행정구역명은 서기 550년 경에 만들어진 이름으로서 허왕후가 배를타고 김해에 도착한 시기와는 맞지 않는다 주장하고 있다. 


그러면 ‘보주(普州)’는 무엇을 뜻하고 있는 것인가? 에 대해 여러 학자들이 많은 의문점을 제기하나 ‘보주’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시기는 허왕후의 비석이 세워지던 조선 인조 25(1641)년으로 알려지고 있다. 영의정을 지냈던 묵재공 허적(積)이 경상도 관찰사 재직 시인 1647년 임진왜란을 거치며 다시 파괴되었던  수로왕과 왕비 능을 보수하며 ‘가락국 왕릉 비문’과 수로왕비릉 비문 ‘보주태후 허씨릉 비음기’를 써 비를 세웠으며, 남인의 영수로 벼슬이 우의정에 이르렀던 미수공 허목(穆) 또한 ‘수로왕 납릉 비음기’와 ‘보주 허태후 비음기’를 썼다. 그러나 이 내용 속에서도 ‘보주’가 중국의 지명을 뜻한다는 내용은 없다. 혹자는 ‘보주’를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것이 조선 말기 이조판서를 역임한 성재공 허전(傳)이 김해 도호부사 재직 시, 김수로왕의 재실 당호를 숭선전으로 정하도록 고종에게 진언한 후, 쓴 숭선전 신도비에서 


“... 후한 환제 연희 연간의 임인(162)년에 왕의 춘추는 121세였다. 스스로 정무를 살핌에 늙고 고되다 여겨, 흔연히 황제(黃帝)가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올라갔음을 흠모하여 왕위를 태자인 거등에게 물려주고, 지품천(知品川)의 방장산에 별궁을 지어 그곳에서 태후와 함께 사셨다. 왕은 스스로 보주황태왕(普州黃太王)이라 부르고, 왕후는 보주황태후(普州黃太后)라 불렀으며 산을 태왕산(太王山), 궁을 태왕궁(太王宮)이라 불렀다...”

라고 한데서 알 수 있듯이 ‘보주’의 뜻은 존경의 뜻에서 후대 사람들이 지어 올렸던 ‘큰 세상’, 즉 ‘큰 세상의 태후’라는 칭송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각 한다. 


앞서 잠시 언급했지만, 김수로왕릉과 허왕후 능은 조선시대 말까지 양천 허씨에 의해 보존과 보수되고 지켜져 왔다. 김수로왕릉과 허왕후 능은 신라시대와 고려시대를 거치면서 많이 황폐해졌다. 양천 허씨는 이렇게 황폐해 진 능의 보수와 관리의 주체로서 조선 제4대 임금 세종대왕 때는 조정에 건의하여 왕릉을 중심으로 사방 30보에 보호구역을 표시하기 위한 돌을 세웠고, 세종 28(1446)년에는 사방 100보에 표석을 세웠다. 또 초당공 허엽(曄) 또한 경상도 관찰사 재직시에 능을 정비하는 등, 김해 김씨와 다른 허씨, 또 인천 이씨들에 비해 많은 노력을 했다. 이는 고려조와 조선조를 통해 양천 허씨가 김해 김씨나 다른 허씨 또는 인천 이씨에 비해 학자로서 또 중앙 정계에서 그 만큼 비중이 컷다 라고 말할 수 있다. 특히 성재공 허전(傳)은 고종으로부터 숭선전(崇善殿) 이라는 김수로왕 재실 당호를 받으면서 김씨와 허씨가 숭선전 능참봉을 번갈아 가면서 맡으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김수로왕릉과 허왕후 능은 1963년 각각 사적 73호와 74호로 지정되었다.  




참고자료:

  1. 양천허씨대종회 60년사, 2017년
  2. 가락국수로왕비 보주태후 허씨릉 비문,
  3. 삼국유사 기이편, 가락국기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