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기 및 진설도

홀기(笏記)란 혼례나 제례 때 의식의 순서를 적은 글을 말합니다.

그 어원은 중국에서 관리들이 임금에게 보고할 사항이나 건의할 사항을 간단히 적어 두었던 장식품의 일종인 홀(笏)에서 유래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후기의 학자 이재(李縡)가 주자(朱子)의 가례(家禮)를 보완하여 사례편람(四禮便覽)을 발간함에 따라 그것을 준용하게 되었습니다.

양천 허씨 시제때 사용하는 홀기도 사례편람에 기초하여 작성된 것입니다.

양천허씨 홀기

○○○ 제례를 봉행하겠습니다.
모두 복장을 단정히 하고, 마음을 엄숙경건히 하시기 바랍니다.

- 집사, 초헌관을 인도하여 제수진설(祭需陳設)을 확인하시오.
- 헌관(獻官) 이하 제관(祭官) 일동(一同) 각각 자리에 서시오.

(1) 초헌관(初獻官), 손을 씻고 향안(香案) 앞에 꿇어앉으시오.
(2) 좌집사(左執事) 향로를 받들고, 우집사(右執事) 향합(香盒)을 받들며, 헌관 삼상향(三上香) 분향 하시오.
(3) 좌집사, 잔(盞)을 받들어 헌관에게 주고, 우집사, 술을 따르시오.
(4) 헌관, 세 번 나누어 땅에 부으시오.
(5) 좌집사, 빈 잔을 받아 제 자리에 놓으시오.
(6) 헌관(獻官), 재배(再拜)하고, 조금 물러서시오.

- 헌관 이하 제관 일동 재배하고 제자리에 서시오.
(배-흥 拜-興)

(1) 초헌관(初獻官), 신위 전(神位 前)에 나와 꿇어앉으시오.
(2) 좌집사, 잔을 받들어 헌관에게 주고 우집사 술을 따르시오.
(3) 좌집사, 잔을 받아 신위 전에 올리고, 정저(正箸) 하시오.
(4) 제관 일동, 부복(俯伏) 하시오.
(5) 축관(祝官), 헌관의 좌(左)로 나가 동향(東向)하고, 꿇어앉아 독축(讀祝) 하시오.
(6) 축관, 일어나 제자리로 가고, 제관 일동 일어서시오.
(7) 헌관, 재배하고 제 자리로 돌아가시오.

(1) 아헌관(亞獻官), 손을 씻고, 신위 전에 나와 꿇어앉으시오.
(2) 좌집사, 퇴주하여 잔을 헌관(獻官)에게 주고, 우집사, 술을 따르시오.
(3) 좌집사 잔을 받아 신위 전에 올리고, 정저 하시오.
(4) 헌관, 재배하고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1) 종헌관(終獻官), 손을 씻고 신위 전에 나와 꿇어앉으시오.
(2) 좌집사, 퇴주하여 잔을 헌관에게 주고, 우집사 술을 따르 시오.
(3) 좌집사, 잔을 받아 신위 전에 올리고, 정저 하시오.
(4) 헌관, 재배하고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5) 헌관이하 제관 일동, 부복숙사(俯伏肅俟) 하시오. (1분)
(4) 집사, 수저를 내리고, 제관 일동 일어서시오.

(1) 헌관이하 제관 일동 재배 하시오.
(배-흥 拜-興)
(2) 축관, 축을 신위 전으로 인도(引導)해 분축(焚祝) 하시오.
(3) 집사, 예필(禮畢)을 고(告) 하시오.
(4) 헌관 이하 제관 일동 각(各) 퇴출(退出) 하시오.

집사, 모두 제단 앞에 나가, 재배하고 퇴출 하시오.
이상으로 ○○○ 제례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로

양천허씨 산신제 축문

산신제는 시제를 지내기전에 산신께 시제를 지내겠다고 알리는 절차입니다.
산신제 축문(祝文)
維歲次壬午三月辛亥朔初二日壬子 (유세차임오삼월신해삭초이일임자)
某(幼學吉童)敢昭告于 {모(유학길동)감소고우}
土地之神 陽川許氏大宗會長 許○○ 恭修歲事于(토지지신 양천허씨대종회장 허○○ 공수세사우)
始祖考 高麗開國壁上功臣孔巖 (시조고 고려개국벽상공신공암)
村主 壯景公 府君 之壇 (촌주 장경공 부군 지단)
維時保佑 實賴神休 敢以 酒饌 敬伸 (유시보우 실뢰신휴 감이 주찬 경신)
奠獻 尙 (전헌 상) 饗 (향)

위로

양천허씨 시제 축문

양천 허씨의 시제때 사용하는 축문(祝文)입니다.

시조대제 축문(祝文)

維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世孫 ○○ 敢昭告于
유세차○○ ○월○○삭 ○일○○ ○○세손 ○○ 감소고우

顯始祖考 高麗開國壁上功臣 孔巖村主 贈諡壯景公 府君
현시조고 고려개국벽상공신 공암촌주 증시장경공 부군

顯二世祖考 尙衣局奉御 追封少府監少監 府君
현이세조고 상의국봉어 추봉소부감소감 부군

顯三世祖考 檢校禮賓省卿 行內史舍人知制誥 太子司議郞 府君
현삼세조고 검교예빈성경 행내사사인지제고 태자사의랑 부군
顯三世祖妣 尙夫人 開城王氏
현삼세조비 상부인 개성왕씨
《2012 개정; 대종보 제24호 3쪽, 顯三世祖妣 尙夫人 開城王氏 (현삼세조비 상부인 개성왕씨) 추가》

顯四世祖考 太子太保 行尙書禮部侍郞 府君
현사세조고 태자태보 행상서예부시랑 부군
顯四世祖妣 贈江陵郡夫人 江陵金氏
현사세조비 증강릉군부인 강릉김씨

顯五世祖考 金紫光綠大夫 開府儀同三司 檢校太尉 守司徒中書侍郞 同中書門下平章事
현오세조고 금자광록대부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위 수사도중서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判戶部尙書 太子太保 府君
판호부상서 태자태보 부군
顯五世祖妣 廣平 郡君 星山李氏
현오세조비 광평 군군 성산이씨
《2011 개정; 대종보 제23호 23쪽, 顯五世祖妣 廣平郡夫人星山李氏(현5세조비 광평군부인성산이씨)》

顯五世祖妣 夫人 崔氏
현오세조비 부인 최씨
顯五世祖妣 上黨郡 夫人 金氏
현오세조비 상당군 부인 김씨

顯六世祖考 同知樞密院事 工部尙書 府君
현육세조고 동지추밀원사 공부상서 부군
顯六世祖妣 銀川 郡君 白川趙氏
현육세조비 은천 군군 배천조씨
《2011 개정; 대종보 제23호 23쪽, 顯六世祖妣 夫人 白川趙氏 (현6세조비 부인 배천조씨)》

顯七世祖考 典厩署令 直史舘 府君
현칠세조고 전구서령 직사관 부군
顯七世祖妣 夫人 晉州鄭氏
현칠세조비 부인 진주정씨

顯八世祖考 檢校尙書省 左僕射 行禮賓省少卿 知制誥 贈諡 文烈公 府君
현팔세조고 검교상서성 좌복야 행예빈성소경 지제고 증시 문열공 부군
《2012 개정; 대종보 제24호 3쪽, 贈諡 文烈公(증시 문열공) 추가》

顯八世祖妣 夫人 仁川李氏
현팔세조비 부인 인천이씨
顯九世祖考 銀靑光綠大夫 樞密院副使 禮部尙書 翰林院學士 承旨 府君
현구세조고 은청광록대부 추밀원부사 예부상서 한림원학사 승지 부군
顯九世祖妣 新定郡 大夫人 木川張氏
현구세조비 신정군 대부인 목천장씨
《2011 개정; 대종보 제23호 23쪽, 顯九世祖妣 夫人 木川張氏(현9세조비 부인 목천장씨)

顯十世祖考 匡靖大夫 忠烈王 廟庭配享功臣 僉議府中贊 修文殿太學士 監修國史
현십세조고 광청대부 충열왕 묘정배향공신 첨의부중찬 수문전태학사 감수국사
判典理司事 世子師 文敬公 府君
판전리사사 세자사 문경공 부군
顯十世祖妣 鈴平郡 夫人 坡平尹氏
현십세조비 영평군 부인 파평윤씨
顯十世祖妣 昌原郡 夫人 鐵原崔氏 之壇
현십세조비 창원군 부인 철원최씨 지단
《2011 개정; 대종보 제23호 23쪽,
顯十世祖妣 夫人 坡平尹氏(현10세조비 부인 파평윤씨)
顯十世祖妣 夫人 鐵原崔氏 之壇(현10세조비 부인 철원최씨 지단)
氣序流易 節季仲春 瞻掃封壇 不勝感慕 謹以淸酌庶羞
기서류역 절계중춘 첨소봉단 불승감모 근이청작서수
祗薦歲事 尙
지천세사 상
饗(향)

위로

차례상 차리는 방법

시저 육적 계적 소적 어적 육탕 소탕 어탕 숙채 나물 간장 나물 침채 대추 사과 산자 다식 약과 조과

- 적(炙)은 육적(肉炙), 계적(鷄炙), 소적(素炙), 어적(魚炙)의 순서로 한다.

- 어적(魚炙)은 배가 신위로 향하고 머리는 서쪽을 향하도록 한다.

- 탕(湯)은 육탕(肉湯), 소탕(素湯), 어탕(魚湯) 순서로 한다.

- 과실의 굄 및 그릇 수는 기수(奇數; 홀수)로 한다.

- 과실의 배열은 조(棗) 율(栗) 시(枾) 이(梨)로 하며, 생과(生果) 조과(造果) 순으로 한다.

- 시저(匙箸) : 제사상에 놓는 숟가락과 젓가락

- 반(飯) : 밥 / 잔(盞) : 술잔 / 갱(羹) : 국 / 면(麵) : 국수 / 병(餠) : 떡

- 전(煎) : 기름에 지진 음식

- 적(炙) : 꼬챙이에 꿰어 익힌 음식

- 육적은 고기류, 계적은 닭고기, 소적은 두부 또는 채소류, 어적은 생선류를 재료로 한다.

- 탕(湯) : 건더기가 많고 국물이 적은 국으로 육탕, 소탕, 어탕 등이 있다.

- 포혜(脯醯) : 포육과 식혜

- 산자(糤子) :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납작하게 만들어 말린 것을 기름에 튀기고 꿀을 바른 후 그 앞뒤에 튀긴 밥풀이나 깨를 붙여 만든 유밀과

- 다식(茶食) : 우리나라 고유 과자의 하나. 녹말·송화·신감채·검은깨 따위의 가루를 꿀이나 조청에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아 만들며, 흰색·노란색·검은색 따위의 여러 색깔로 구색을 맞춘다.

- 약과(藥果) : 꿀과 기름을 섞은 밀가루 반죽을 판에 박아서 모양을 낸 후 기름에 지진 과자. 속까지 검은빛이 난다. ≒과줄

- 조과(造菓) : 유밀과나 과자 등.